2025-01-06

The proverb ‘눈 뜨고 코 베인다’ 속담 영어로

  The proverb ‘눈 뜨고 코 베인다’ (Noon Twego Ko be In Da.) is 

is used as ‘be careful, Your nose can be cut, even with your eyes open.’
There's also an English proverb, “Be caught like a sitting duck,” which means the same thing. 
"To be caught like a sitting duck" means to be completely exposed and vulnerable to attack, like a duck sitting on the water with no way to escape, making it an easy target; essentially, to be caught completely unprepared and unable to defend yourself. 

1820 rounds. 
It is believed to have originated in Da San Jeong Yag yong's (다산 정약용 茶山丁若鏞 Da San Jeong Yag yong) collection of proverbs, Yidam Sokchan (이담속찬 耳談續纂),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compiled around 1820. “The world is too harsh, so don't blink. It means, “The world is so rough, if you don't blink fast enough, you might lose your nose. It means, 순목불극 혹상궐비(瞬目不亟 或喪厥鼻 Sun Mok bul guek hok sang gwuel B). “The world is so rough, you might lose your nose. 
 
In the 1960s..
It was also used in Korea in the 1960s to say, 
 ‘서울 가면 눈뜨고 코 베인다’ (Seoul GaMuen Noon Twego Ko be In Da.) “When you go to Seoul, watch out! Your nose can be cut, even with your eyes open,” meaning, “If you go to Seoul, you'll open your eyes and cut your nose, so be careful. 
It is said to have been used when people from the provinces traveled to Seoul and went to Seoul Station (train station), where many people scammed these people who didn't know what was happening in Seoul Korea. 

Afterward, 
the 2022 Winter Olympics in Beijing, China, there were a lot of ridiculous officiating decisions, so the phrase 
'눈 뜨고 코 베인다’ Noon Twego Ko be In Da.
'눈 뜨고 코 베일라' Noon Twego Ko be il La.
'눈 뜨고 코 베이지.'에서 Noon Twego Ko be e ji 
'눈 뜨고 코 베이징' oon Twego Ko Beijing

in 'watch out! Your nose can be cut, even with your eyes open.', "Could be cut" changed to 
The pronunciation of "베인다 (bae In Da)", which means "could be cut", changed to "베이징" Beijing.

However, that pronunciation is also a common expression often used in conversation. It's colloquial, and has been used as satire and humor, Since then, the phrase has become popular.

Meanwhile, in Korea, this expression is sometimes used with acquaintances traveling to LA or New York. 
'뉴욕에가면 눈 뜨고 코 베인다. 라고 하니 조심해’ 
New York ae Gameun, Noon Twego Ko be In Da. ra go Hani, Jo Shim Hea. "be careful, New york is so tough and harsh." 



‘눈 뜨고 코 베인다’라는 속담은 
'눈 뜨고 코 베일라, 조심해라' 정도로 사용된다. 

1820년즈음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 茶山 丁若鏞 Da San Jeong Yag yong)의 속담집 이담속찬(耳談續纂)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순묵불극 혹상궐비(瞬目不亟 或喪厥鼻). 세상이 너무 험하니, 눈 깜빡임을 빨리하지 않으면 코를 잃을 수 도 있다. 라는 의미라고. 
 
1960년대 한국에서 ‘서울 가면 눈뜨고 코 베인다’ 라고 사용되기도 해서, ‘서울 가면 눈뜨고 코 베인다고 하니 조심해'라고 사용되어왔다. 
지방 출신들이 서울로 상경할 때, 서울역(기차역)으로 가는데, 그곳에는 서울 사정을 모르는 이런 지방 사람들을 속여 사기를 치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 말이라고 한다. 

이후, 
2022년 중국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어이 없는 판정이 많아지자, 한국에서는 
'눈 뜨고 코 베일라.' '눈 뜨고 코 베이지.'에서 '눈 뜨고 코 베이징' 이라는 풍자와 해학의 말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후, '눈 뜨고 코 베이징'이 한참 인기를 끌었다.
사실 구어체로 코 베이지, 코베일라, 코 베이징..은 크게 다른 의미가 아니라 비슷하다. 

그런데, 요즘 한국에선 미국 LA나 NY에 갈때도 
'뉴욕에가면 눈 뜨고 코 베인다. 라고 하니 조심해’ 라고 하기도 할만큼 사용되기도 한다. 

2025-01-05

한국의 겨울 Korea winter storm warning 동장군, 엄동설한, 삼한사온

Korea winter storm warning

The weather and temperature in Korea and the eastern United States are very similar.
In summer, the weather and temperature in Korea are similar to those of Florida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U.S. 
In winter, Korea's weather and temperatures are similar to those of New York, New Jersey, Philadelphia, Maryland, and Virginia in the east-central United States.
In other words, most land areas such as Seoul, Gyeonggi-do, Gwangju, and Busan in Korea have temperatures and weather similar to those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Jeju isla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has temperatures and weather similar to Florida.
The latitude and longitude are different, but the weather and temperature are often similar.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re is an expression for winter, a four-character idiom,


동장군 (冬将軍 Dong-Jang-Goun)
동장군 (冬将軍 Dong-Jang-Goun)  is a Korean pronunciation of the Japanese expression "冬将軍 (whoo u shou goun) which personifies the harsh winter.동장군 (冬将軍 Dong-Jang-Goun) means a General who leads the winter.

엄동설한 (嚴冬雪寒 uhm dong sul han)
There is also 엄동설한 (嚴冬雪寒 uhm dong sul han), a four-character idiom that represents the severe cold of winter, harsh winter. 


삼한사온 (三寒四溫 Sam Hanm Sa On)  
On the other hand, a very interesting statistical wisdom is called 삼한사온 (三寒四溫 Sam Hanm Sa On) . 
It refers to the phenomenon of getting cold for three days and warm for four days in winter in northeastern Korea and China. It also appears occasionally in spring.

한국과 미국 동부의 날씨, 기온은 매우 비슷하다.
여름, 한국의 날씨와 기온은 미국 동남부 플로리다지역과 유사하고
겨울, 한국의 날씨와 기온은 미국 동중부 뉴욕, 뉴저지, 필라델피아,메릴랜드, 버지니아와 유사하다. 
즉, 한국 서울, 경기도 및 광주, 부산 등 대부분의 육지 지역은 미국 동부와 비슷한 기온, 날씨이고, 한국 남부지역 중 제주는 플로리다와 기온, 날씨가 유사하다.
위도, 경도는 다르지만,  날씨와 기온이 비슷할때가 참 많다. 

한편, 한국에서는 겨울을 나타내는 표현, 4자성어가 있는데,
먼저, 
동장군 
혹독한 겨울을 의인화한 일본어 표현 (冬将軍후유쇼군 who U shou Goun) 을 한국식 발음한 동장군이다. (동장군 冬将軍 Dong-Jang-Goun) 겨울을 진두지휘하는 장군이란 뜻.
엄동설한 
한 겨울의 심한 추위를 나타내는 고사성어, 4자성어 표현으로, 엄동설한 (嚴冬雪寒 uhm dong sul hanm)도 있다. 
삼한사온 
한편, 아주 재미있는 통계적인 지혜로 삼한사온삼한사온 (三寒四溫 Sam Hanm Sa On) 이라는 것도 있다. 
대한민국과 중국 동북부에서 겨울철에 나타나는 3일간 춥고, 4일간 따뜻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봄철에도 간혹 나타난다. 

고래 (Whale) vs 고래고래(GoRea GoRea)

 고래고래 (GoRe GoRe) refers to the shape of an angry yell.
So, loudly yelling with anger is the most common expression of GoReaGoRea. 

고래고래 소리를 지른다. (GoRe GoRe Shori JiReunDa.) 
he,she,they scream very loudly with anger.

It has the same pronunciation as the word 'whale'.
so you might think, “How big can it be?” but it's not,
There are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Godge GodeaRo (As it appears or as it is, without the slightest falsehood.), Oh-Rea oh-Rea A very long period.), GeuReaGeuRea (Saying “yes” with emphasis), etc. 
Many theories of origin exist, but I don't know what makes me think this is it.


고래고래(GoRea GoRea) 는 화가나서 소리를 지르는 모양을 말한다.
그래서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다. 가 고래고래의 가장 일반적인 표현이다. 
고래(鯨魚, Whale)와 발음이 같은 단어라서

고래(Whale)를 두번이나 붙이니, 얼마나 큰 것이겠는가? 하는 생각도 있지만,
곧이 곧대로(Godge GodeaRo, As it appears or as it is, without the slightest falsehood.), 오래오래(Oh-Rea oh-Rea A very long period of time.), 그래그래(GeuReaGeuRea, Saying "yes" with emphasis) 등등의 유래설이 있긴한데, 딱 이거다 하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2025-01-04

개판 오분 전 (開板五分前) 유래.

 The opening of the board (開板) was meant to open the board and open the lid.
this phrase occurred form right after the Korean War, when there was not enough to eat, we tried to ration relief food, It was a time when normal people generally didn't have their watches,
If the rationer of the relief food yells, it's five minutes before the opening, they shout "개판오분전 (GePan o Bun Jeun)". That means just 5 minutes left for opening.
at this time, People are crowded, flocking, and shouting, From this point on, if there's a situation where it's chaotic and chaotic, or if it doesn't seem to be organized This is called the opening of the gate five minutes ago."개판오분전 (GePan o Bun Jeun)"

When you hear the word “Gea” in Korean, it often means “dog” (Gea). 
It's often misunderstood to mean just before a dizzying array of dogs a dizzying situation where many dogs are running around.
The meaning is similar, but the origins are different. 

개판 오분 전 (開板五分前) 유래,
개판(開板)은 판을 열다, 뚜껑을 열다의 의미였다.
그런데 전쟁 직후, 먹을 것이 모자라고 없을때, 구호식량을 배급하려는데,
당시엔 시계를 일반적으로 모두 가지고 있던 시절이 아니여서,
구호식량을 배급하는 사람이 개판 오분전이라고 소리를 지르면,
사람들이 우르르몰려와 아우성을 치게되는데, 이때부터 무질서하고 어지러운 상황, 정리가 안될 것 같은 상황이 되면, 이를 개판오분전이라고 한다고 한다. 

"개(Gea)"라는 말이 붙으면 "개(Gea)" (dog)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 
개들이 와글와글 많이 몰려드는 어지러운 상황 직전을 
개판 오분전으로 오해하는 사람도 많다.
의미는 비슷한데, 유래는 다르다고 한다. 

2025-01-03

South Korean won, bill and coins. 한국의 돈

  The Korean currency unit is 'won.' The notes are issued in 1,000, 5,000, 10,000, and 50,000 denominations, and the coins are in denominations of 1, 5, 10, 100, and 500 (1 and 5 are not in circulation now).

However, in Korea,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cards are very high compared to bills and coins.
Many people don't even carry bills and coins.
In particular, there was no tip culture, and there is still very little.
Moreo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payment is made with IC cards, credit cards, and public transportation cards,
In Korea, the use rate of bills and coins is very low.

So, not many people carry cash when eating street food or buying a simple snack at a traditional marketplace, so vendors have a card terminal, give them their bank account numbers, or simply take notes and put them on the wall. Most people who don't carry cash show their smartphones (transaction history) to street food vendors and pick up their items.



한국의 통화 단위는 '원'이다.
지폐는 1,000원, 5,000원, 10,000원, 50,000원권으로 발행되며 
동전은 1원, 5원, 10원, 100원, 500원 인데, 
(요즘에는 1원, 5원은 현재 유통되고 있지 않고 있어서, 간혹 취미로 수집하는 사람들은 있고, 회계 장부나, 은행계좌에는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지폐와 동전보다 
카드형태의 디지털 돈의 사용 빈도, 비율이 매우 높다.

심지어 지폐와 동전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사람도 많다.
특히, 팁 문화가 없었고, 지금도 거의 없다.
더구나, IT의 발달로 IC 카드, 신용카드, 대중교통 카드 등으로 결제가 되기때문에,
한국에서는 지폐와 동전의 사용 비율이 매우 낮다.

츤데레 (ツンデレ / Tsundere)

 츤데레 (ツンデレ / Tsundere)  This term is often used to describe people who are strict with the people they love, but are actually full of love for them on the inside. Most of the time, it's used for romantic relationships.
It's a word originally used in Japan, it became popular in Korea as well, 
in Korea & Jp, there are so many Dere Series. 

다루데레
메가데레
보코데레
빈데레
얀데레
욕데레
츤데레
쿨데레

Tsuntsun: Short for Tsun Tsun, tsuntsun is an expression that describes acting coldly or showing a cold, blunt, or nervous demeanor. 
Dere : deredere is short for deredere, and is said to show a fond and shy attitude. 

2025-01-02

암. 암요. 아암, 아암요, 암 그렇지 그렇고 말고~ Expressing affirmation and agreement

In Korea, quite a few expressions are used to agree or respond to the other person's words. 
응 (oung) 
암 (Am, Ahem)
아암 (A-am)   
암요 (Am Yo) 
맞아 (Ma Ja)
음 맛아 (Ung Ma Ja)
그럼 (Geu Rum)
그럼요 (Geu Rum Yo)
그래 (Geu Rea)
응 그래 (Oung Geu Rea) 
암 그럼
아암 그럼.
암 그렇고 말고 (Am Geu-rug-go Mal-go) 
아암 그렇고 말고 
암 그렇지 그렇고 말고~ (Am Geu-ru-chi Geu-rug-go Mal-go) 
아암 그렇지 그렇고 말고~ 


These means are
Yes,
Sure,
Of course it is~.
Absolutely correct. Exactly!
That's what I'm saying. 
That's right 
Sometimes, 맞장구치다. (Mahd Jang Gu Chi Da) is the same expression.
but, During many real conversations, Korean says 
Ung,



대화중 상대의 말에 동의하거나 호응할때

응 

암. 

아암

그럼

그래

암 그럼

아암 그럼

암 그렇고 말고 

아암 그렇고 말고 

암 그렇지 그렇고 말고

아암 그렇지 그렇고 말고 

이런 표현을 사용하곤 한다. 


아니 근데 진짜

아니 근데 진짜 (진짜로) 그리고 C-8. 

When Korean people start talking, they often start their sentences with 
아니 (A-Nee) 
근데 (Geun-Dae) 
진짜 (Jin-ZZa) 
씨발 (C-Pal, C-bal, C-Val) <----Not Recommanded.
아니 근데
아니 근데 이거 
아니 근데 진짜
아니 근데 이거 진짜
아니 근데 이거 진짜 씨발 <----Not Recommanded.

For example, 
When you ask, "What is this?" (이게 뭐예요? E-ge mu-ye-yo?)  
"What is this?" (이게 뭐예요? E-ge mu-ye-yo?)  
아니, 이게 뭐예요? 아니 (A-Nee, E-ge mu-ye-yo?) 
근데, 이게 뭐예요? 근데 (Geun-Dae, E-ge mu-ye-yo?) 

There may be slight variations in these sentences. There can also be differences in nuance.

there is a song for these phrases, 

한국사람들이 말을 시작할때, 보통 
아니 (A-Nee) 
근데 (Geun-Dae) 
진짜 (Jin-ZZa) 
씨발 (C-Pal, C-bal, C-Val) <--추천하지 않는 형태입니다. 
아니 근데
아니 근데 이거 
아니 근데 진짜
아니 근데 이거 진짜
아니 근데 이거 진짜 씨발 <--추천하지 않는 형태입니다. 

등으로 말을 시작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예를 들어, 
이게 뭐예요? 라고 물어볼때
아니, 이게 뭐예요?
근데, 이게 뭐예요?  
아니 근데, 이게 뭐예요? 
아니 근데 진짜 이게 뭐예요? 등등이다.
조금씩 뉴앙스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비슷하게 생긴 핑크색 꽃 진달래와 철쭉 Rhododendrons and azaleas, similar pink flowers

 There are many pink flowers in Korea during spring.

Most of them are azaleas and rhododendrons. They both look similar, and they are both pink.

진달래 Jin Dal Rea (Korean rhododendron,Korean rosebay)
철쭉 Chul JJuck (Royal azalea) 

진달래 Jin Dal Rea (Korean rhododendron, Korean rosebay) bloom before the leaves come out,
and 철쭉 Chul JJuck (Royal azalea) bloom after the leaves come out. They have a few reddish-brown spots.

진달래 Jin Dal Rea (Korean rhododendron, Korean rosebay) The flowers are edible and medicinal, also called sesame flowers.

So, it is said that azalea flowers are edible, but if they are not sold, there is no need to....

한국 봄엔 Pink 색의 꽃이 많다.
대부분 진달래와 철쭉이다. 둘다 비슷하게 생겼고, 둘다 pink색깔이다. 
Jin Dal Rea    Chul JJuck

진달래는 잎이 나오기전에 꽃부터 피고,
철쭉은 잎이 나온 후 꽃이 핀다. 적갈색 반점이 조금 있다. 
진달래는 꽃잎을 먹을 수 있긴 하다.

그래서, 진달래는 꽃을 먹을 수 있다고 하지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면, 굳이....

Korean New Year's bells. 보신각 종 타종. 제야의 종

Korean New Year's bells. 

In South Korea, the bell of Boshingak is rung 33 times to start the new year. Jeya's bell (除夜 鐘) is an annual ritual of ringing the bell 33 times at midnight from December 31 to January 1 to welcome in the new year. To be more precise, the bells are rung 33 times starting at 0:00 on January 1 after a countdown just before the New Year. 
The Korean government does not organize the Boshingak bell ringing bu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is means that the local governments are in charge of organizing the event. 
In Suwon, the bell is rung at Yeomingak across Hwaseonghwagung Palace Square, in Paju, the bell is rung at Imjingak Peace Bell, and so on.


1. Why is January 1 the first day of the Western calendar? We used to celebrate the New Year on the lunar calendar, and January 1 is still the first day of the Lunar New Year and the Chinese New Year holiday. 
 Korea first adopted the Western calendar in 1895 during the Joseon Dynasty. Until then, January 1st was the beginning of the year.  
However, the 보신각 종 Boshingak (Boseonggak) bell continued to ring, raising some questions.
 And until now, we've continued to use a mixture of the Western and Lunar calendars. Therefore, we officially celebrate the beginning of the year on January 1, the first day of the Western calendar, and the traditional holiday celebrating the first day of the lunar calendar.  Birthdays in Korea are also celebrated on both the Western and Lunar calendars. The Korean calendar is marked with a small number for the lunar month. 

2. The time zone is incorrect.  
 Korean time zone is currently set to the time zone of Tokyo, Japan, and is still in use. (UTC+09:00)
 In other words, it is set differently from the standard time based on the Royal Observatory, Greenwich. 
 This was set during the initial Japanese occupation and is still in use. 
 However, trying to change this was deemed too costly, and the 30-minute difference is not a big deal, South Korea has continued to use Japan's time zone. 

3. Why do Koreans ring the bells in New Year?
 New Year's bell ringing was popularized in 1927 when Japan's JOAK radio station broadcast the sound of the bells of Kan'eiji Temple on December 31, the day of the event. 
 It is sai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event beg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ugust 29, 1910, to August 15, 1945), when people heard the sound of the bells on Japanese radio and imitated it. The Korean version of the bell Ringing began in 1953. 
 Boshingak, also known as Jonggak(종각), is a pavilion that was built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house the bell. The bell was first made and hung after the capital was established. 

 After being lost due to war and other environmental reasons, the bell was rebuilt in 1986 with public donations.


4. Why do we ring the bell 33 times?
 It originally originated from a ritual where Buddhist temples would ring the bell 108 times on New Year's Eve, but that was too many, so they took a number from the Buddhist 도리천 Torichon (33, the Indian word for “Dori”) and decided to ring it only 33 times.  (It's believed that the pronunciation was different as the word was transferred from India to China and then to Korea. ) 
'섣달그믐' (Sud Dal Geo Meom) is a lunar date, referring to around December 30th of the lunar calendar, 
섣달그믐날 (the last day of the year) 
섣달그믐달 (the last month of the year) 
which, according to the current Solar calendar, is December 31st. 

5. Who rings the bells? 
Current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ganizes the event and appoints the bell ringer.   

https://namu.wiki/w/%EC%A0%9C%EC%95%BC%EC%9D%98%20%EC%A2%85

제야의 종 . 
한국에선 새해가 시작되는 시점에 보신각의 종을 33번치면서, 새해를 시작해왔다. 제야의 종(除夜의鐘)은 매년 12월 31일에서 이듬해 1월 1일로 넘어가는 자정에 종을 33번 타종하면서 새해를 맞이하는 행사이다. 정확하게는 새해 직전에 카운트다운을 하다가 1월 1일 0시부터 33번 타종하는 형식이다. 보신각의 타종은 한국정부가 하는 행사가 아니라, 서울특별시가 진행하는 행사이다. 즉, 각 지방에 따라 타종 행사를 하는 곳들은 지방자치부에서 관할하고 있다. 
수원시는 화성행궁 광장 건너편 여민각 종을 타종하고, 파주시에서는 임진각 평화의 종을 타종하는 등 아주 많다.


그런데, 몇가지 의문을 가지는 형태인데, 보신각 타종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1. 왜 양력1월1일인가? 원래는 음력으로 새해를 지내왔는데? 아직도 음력으로 1월1일이 설날이며, 구정 휴일인데.. 
 조선시대 1895년 처음 서양식 달력을 채택하였다. 그 전까지는 음력 1월1일이 한해의 시작이였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계속 양력과 음력을 혼용해서 사용해오고 있다.  그래서 공식적으로는 한해의 시작을 양력1월1일로 하며 기념하고,  전통적으로 이어오던 음력1월1일을 기념하는 연휴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생일도 양력, 음력 나누어 기념하기도 한다. 한국의 달력에는 작은 숫자로 음력이 표시되어 있다. 

2. 시간대가 정확하지 않은데?  
 한국의 time zone은 현재 일본 동경의 time zone으로 설정되어 있고 계속 사용 중이다. (UTC+09:00)
 즉, 그리니치 천문대(Royal Observatory, Greenwich)를 기준으로한 표준시와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초기 일제 강점시때 지정된 것이 아직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바꾸려고 하니 비용이 너무 많이 소모되고, 30여분 차이라 크게 문제가되지 않는다고 하여,  아직도 한국은 일본의 시간대를 그대로 지속 사용하고 있다. 

3. 왜 종을 치나?
 1927년 일본의 JOAK 방송국이 대회일인 12월 31일에 칸에이지 사찰의 타종 소리를 라디오로 송출하며 제야의 종 행사가 대중화되었다. 
 이후 한국도 일제 강점기 시기(1910년 8월 29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에 일본 라디오에서 종을 치는 소리를 듣고 이를 모방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한국은 1953년부터 타종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보신각은 종각이라고도 불리는 누각으로, 조선 태조때 종을 걸어두려고 만든 곳이다. 수도를 정하고 처음 종을 만들어 걸어둔 의미이다. 
 전쟁과 여러 환경적 이유로 유실된 보신각종은 1986년에 국민 성금으로 새로 제작되었다.

4. 왜 종을 33번을 치나?
 원래는 섣달그뭄에 불교의 사찰에서 108번 종을 치는 의식에서 유래했다고. 그런데 너무 많아서, 불교의 도리천 (33천.인도말의 ‘도리’는 33이라는 뜻)에서 숫자를 가져와 33번만 치기로 했다고.한다.  

'섣달그믐'이란 달을 기준으로 음력 12월 30일경을 나타내고, 
섣달 그믐날 (the last day of the year) 
섣달 그믐달 (the last month of the year) 인데, 현재 양력으로 계산하면, 12월 31일이 된다. 


5. 그럼 누가 종을 치나? 
현재 서울시가 행사를 주관하며, 서울시에서 타종하는 사람을 지정한다.